“어느 날부터 고양이 입에서 냄새가 나요…”
보호자 입장에서 고양이의 입을 들여다보는 건 쉬운 일이 아니에요.
그래서 더더욱 구강 건강 문제는 뒤늦게 발견되기 쉽죠.
하지만 아시나요? 치아와 잇몸의 문제는 신장, 심장, 간 건강까지 영향을 줄 수 있다는 사실!
특히 3세 이상 고양이의 약 80%가 치주질환을 앓고 있다는 연구 결과도 있어요.
오늘은 고양이의 치아를 건강하게 지키는 방법, 치주질환 예방법, 집에서 할 수 있는 케어 루틴을 소개할게요.
1. 고양이에게 흔한 구강 질환
고양이의 입속에서는 많은 변화가 일어납니다. 초기에 가볍게 넘긴 문제들이 심각한 질환으로 발전할 수 있어요.
- 치은염 (잇몸 염증)
가장 흔한 질환으로, 잇몸이 붉게 붓고 출혈이 있을 수 있어요. - 치주염
치은염이 진행되면 잇몸이 내려앉고, 이빨이 흔들릴 수 있어요. 심한 경우 발치를 해야 해요. - 구내염 (만성 구강 염증)
입 전체에 염증이 퍼져 고통스러워하고, 식사 거부나 침 흘림 등의 증상이 나타나요. - 치석 & 플라그
사료 찌꺼기와 침이 굳어져 생긴 노란 덩어리. 제거하지 않으면 세균의 온상이 됩니다.
💡 TIP: “입에서 냄새가 나요”는 구강 건강의 위험 신호일 수 있어요. 그냥 지나치지 마세요.
2. 고양이 치아 건강, 왜 중요한가요?
고양이는 아픔을 잘 드러내지 않기 때문에, 식욕 감소나 이상 행동이 나타날 때쯤이면 이미 병이 꽤 진행된 상태인 경우가 많아요.
- 구강 통증 → 식욕 부진
먹고 싶은데 씹을 수 없어 밥을 안 먹고, 영양 불균형이 발생합니다. - 염증 → 전신 질환
입안 염증이 혈관을 타고 신장, 간, 심장으로 퍼질 수 있어요. - 심한 경우 발치, 마취 필요
병원비, 스트레스 모두 큰 부담이 될 수 있으므로 예방이 최선입니다.
3. 집에서 할 수 있는 치아 관리 루틴
고양이도 매일 양치질이 이상적이에요. 하지만 현실적으로 어려울 수 있으니 단계적으로 접근해볼게요.
✅ ① 칫솔질 (양치질)
- 도전 난이도: 상
- 도구 추천: 고양이 전용 실리콘 핑거 브러쉬, 부드러운 칫솔, 전용 치약
- 방법:
- 처음엔 입가만 만지며 익숙하게 만들기
- 치약 없이 칫솔만 입 안에 넣기
- 이후 치약과 함께 하루 한 번, 최소 주 3회 이상 양치질 진행
💡 사람용 치약은 절대 금지! 자일리톨 등 고양이에게 독성이 있어요.
✅ ② 구강 전용 간식 & 덴탈스낵
- 도전 난이도: 하
- 종류: 치석 제거용 덴탈 트릿, 치아형 씹는 간식
- 장점: 기호성이 좋아 대부분의 고양이가 쉽게 먹어요.
- 단점: 예방에는 좋지만, 이미 쌓인 치석을 제거하긴 어려워요.
✅ ③ 물에 타는 덴탈용 첨가제
- 도전 난이도: 중
- 종류: 덴탈워터, 구강 케어용 첨가제
- 장점: 물 마시는 습관이 있다면 간편하게 구강 환경 개선 가능
- 단점: 물을 잘 안 마시는 고양이에게는 큰 효과 보기 어려움
✅ ④ 덴탈 전용 사료
- 도전 난이도: 중
- 대표 제품: 힐스 t/d, 로얄캐닌 Oral Care
- 특징: 사료 알갱이가 크고 단단해서 씹으면서 치석 제거에 도움
- 급여 방법: 단독 급여 or 일반 사료와 혼합 급여
4. 정기적인 구강검진, 반드시 필요해요
- 1년에 1회는 구강검진 필수
이상이 없어 보여도 1년에 한 번은 수의사에게 구강 상태를 확인받으세요. - 치석이 심할 경우 → 스케일링
마취 후 초음파로 치석을 제거하는 스케일링은 구강 건강을 크게 개선해줘요. 단, 마취 전 혈액검사로 건강상태를 확인해야 해요. - 만성 구내염이 있다면 전문 진료 필요
일부 고양이는 구강 면역 반응 문제로 인해 만성 구내염이 발생해, 발치 치료까지 진행되는 경우도 있어요.
마무리하며: 고양이 치아도 ‘오래 쓰는 평생 도구’예요
고양이의 구강 건강은 단순히 이빨을 관리하는 게 아니에요.
그들의 삶의 질, 식사, 감정 상태까지 영향을 주는 아주 중요한 영역이에요.
하루 1분이라도 입 주변을 살펴보고, 양치 대신 간식이라도 챙겨주는 것.
그게 바로 오늘 고양이를 위한 ‘예방의 시작’이 될 수 있어요.
작은 습관 하나가 아이의 평생을 바꿀 수 있다는 것, 오늘도 기억해 주세요.
'반려 동물과의 현명한 삶' 카테고리의 다른 글
질병관리용 고양이 처방식 사료 가이드 (1) | 2025.05.17 |
---|---|
노묘를 위한 맞춤형 고양이 사료 가이드 (0) | 2025.05.16 |
전문가 케어와 셀프 관리 차이점 (1) | 2025.05.15 |
양이 건식사료와 습식사료 비교 (0) | 2025.05.14 |
고양이 케어 집에서 하기와 펫샵 맡기기 비교 (0) | 2025.05.13 |